남한산성(南漢山城)
靑雲. 丁德鉉
남한산성 제57호
남한산성은 통일신라시대 축성한 주장성으로 군수물자를 저장하는 특수 창고를 설치한 중요한 거점 성이었다
조선시대 외성과 옹성을 갖춘 전형적인 산성이면서 산성의 변화 과정과 기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신라 문무왕 때 처음 성을 쌓고 이름을 주장성이라 했으며 (동국여지승람)에는 일장산, 백제 온조왕 성이라고 전하기도 했다
1624년에 개축 1626년에 공사를 마쳤다
4문과 16 아문, 성가퀴 1,897개, 옹성, 성랑, 우물 샘등의 시설을 갖추었다
공사는 승려 각성이 8도의 승군을 동원 진행했는데 7개의 절을 지었다
지금은 장경사만 남아있다
남한산성의 수비는 총융청이 맡아하다가 성이 완성되면서 수어청이 따로 설치되었다
현재 남은 시설은 동, 서, 남문루와 장대, 돈대보 등 방어 시설과 비밀 통로인 앞문, 우물, 관아 군사시설 등이다
1963년 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다
임금이 거처할 행궁(行宮)은 상궐(上闕) 73칸 반 하궐(下闕) 154칸이 있다
1688년(숙종 34)에 종묘를 모실 좌덕당(左德堂)을 세웠다
1711년(숙종 37)에 종묘를 모실 좌전(左殿)을 세우고 남문 안에는 시직을 모실 우실(右室)을 두었다
1624년에 세운 인화관(人和館)을 1829년(순조 29)에 수리했다
관청으로 좌승당(坐勝堂), 일장각(日長閣), 수어청(守禦廳), 제승헌(制勝軒) 등과 군사 기관으로 비장청(裨將廳), 교련관청(敎練官廳), 기패관청(旗牌官廳)등을 두었다
또한 종각, 마구(馬廐), 뇌옥(牢獄), 온조왕묘, 성황당, 숙단(塾壇)등을 두고 승군을 총괄하는 승도청(僧徒廳)을 두었다
남한산성의 수비는 총융총이 맡아하다가 성이 완성되면서 수어청이 따로 설치되었다
여기에는 전, 좌, 중, 우, 후의 5관(五管)이 소속되었는데 전영장(前營將)은 남장대(南將臺)에 중영장은 북장대에 후영장과 좌영장을 동장대에 우영장은 서장대에 진을 치고 있다
지금은 서장대(일명守禦將臺)만 남아있다
이밖에 현절사(顯節祠), 연무관(演武館), 지수당(池水堂), 영월정(迎月亭), 침과정(枕戈亭)등이 있다
1636년 (인조 14) 병자호란 때 왕이 이곳으로 피신했으나 제대로 싸우지 못하고 삼전도(三田도)에서 청나라에 항복하는 굴욕을 당했다
오늘날까지 여러 차례 보수를 하고 1971년 도립공원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240124
2024, 1, 23일
남한산성 성곽길에 눈길 산행을 하면서 남한산성 이력을 알아보았다.~~






